

"국립연천현충원 24일 첫 삽 뜬다... 5만 기 규모로 2027년까지 준공"
국립서울현충원과 대전현충원에 이은 제3의 현충원인 국립연천현충원이 첫 삽을 뜬다.
국가보훈부는 24일(목) 오후 3시, 국립연천현충원 조성사업 부지(경기도 연천군 신서면)에서 강정애 장관과 김성원 국회의원, 김덕현 연천군수, 보훈단체장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립연천현충원 착공식을 개최 한다고 밝혔다.
지난 2018년 부지선정 후「국립묘지법」개정과 설계 및 인·허가, 토지 보상 등을 거쳐 착공에 이르게 된 국립연천현충원은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대광리 일대 95만 7천여 제곱미터(㎡, 약 29만 평) 부지에 총사업비 1,298억 원을 투입해 봉안당(2만 5천 기)과 봉안담(2만 기), 자연장(5천 기) 등 총 5만 기 - 1 - 규모로 오는 2027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국립연천현충원 조성사업은 나무 벌목 등 산림 훼손을 최소화하고, 기존의 논·밭을 중심으로 공사를 진행하는 등 환경친화적으로 추진되며, 현충원 조성이 완료되면 수도권 거주 국가유공자 등의 원활한 안장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현재 국립묘지 안장 대상자는 34만여 명이며 안장 여력은 11만 기로, 23 만여 기의 봉안시설이 부족해 추가적인 묘역 조성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국가보훈부는 이번 국립연천현충원(5만 기)과 국립횡성·장흥 호국원 3만 3천 기(횡성 2만, 장흥 1만 3천) 신규 조성을 비롯해, 올해 국립영천· 임실·이천호국원의 봉안시설 확충사업을 통해서도 10만여 기를 확보하는 등 안장 수요에 지속적으로 대비할 계획이다. 출처 : 국가보훈부 보도자료

010-2855-8792
'보훈보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국원, 현충원(국립묘지)생전안장심의 탄원서, 소명서 등 작성] (0) | 2025.04.15 |
---|---|
[국립묘지(현충원, 호국원)안장심의 탄원서, 소명서 작성방법] (0) | 2025.04.07 |
[국립묘지(현충원, 호국원)생전안장심의 탄원서, 소명서 작성] (0) | 2025.03.31 |
[국가유공자(고엽제)6급 상이사망, 비상이사망, 7급 상이사망, 비상이사망 유족보상연금] (0) | 2025.03.28 |
[국가유공자, 경찰관, 소방관, 군인 등 국립묘지(현충원, 호국원)안장심의대상 탄원서, 소명서 작성] (2) | 2025.03.26 |